아시는 분은 아시고 모르시는 분은 모르시겠지만;;;; 전 인터넷 종량제 사용자입니다. 물론 회사와 집의 환경이 다른데...회사는 wireless 환경이고 집은 ADSL 환경입니다. 그리고 회사는 월 6기가(다운로드, 업로드 합해서) $60 계약이고 집은 월 60기가(역시) $70 계약입니다. 둘 다 속도는 비슷합니다. 1.5메가 o<-<
간략해서 제 환경을 설명을 드렸고... 제가 느끼는 최근 한국의 블로그 환경과 저의 블로깅 습관(?)을 이야기하자면...
1. 올블로그<다음블로거뉴스<블로그코리아<<(넘사벽)<<한RSS
위에도 썼지만 최근의 환경입니다. 메타블로그 사이트들은 저마다의 레이아웃으로 꾸며놓았고 다양한 위젯으로 사용자를 유혹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한국내의 사용자들을 위할 뿐이고!!! 저처럼 몇 mb에 벌벌 떠는 사람은 어지간하면 메타블로그에 가질 않습니다. 그래도 예전에는 비슷하게 드나들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올블은 화면이 뻑하면 깨지고 속도도 느려 제대로 열리지도 않더군요. 다음은 예나지금이나 여전히 무겁고...최근에 블코가 좀 빨라진 경향이 있지만 그래도 한RSS와는 비교가 안됩니다. 의성어로 표현을 하면 한RSS는 챠킹! 블코는 뾰루룽~ 다음은 삐루룽~삥뿡~(윈도우 시동음-_-;;) 올블은 버버버버버ㅁ아러;비ㅏㅓㄷㄹ;ㅣ....' 수준입니다.
2. 위젯?? 피식~ 됐거등.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이렇게도 꾸미고 싶고 저렇게도 꾸미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전 언제나 용량제한에 ㄷㄷㄷ 그러다보니 위젯중에서도 아주 가벼운 위젯만 선택해서 사용합니다. 날씨나 시계 등의 위젯은 됐고! 메타블로그용 위젯도 테스트해보고 속도를 느리게 하면 무조건 삭제! 역시 가벼운 것이 최곱니다.
3. 이렇게 큰 사진을??!!! 배신! 배반형!
가끔 RSS로 구독중이거나 링크를 타고 들어간 블로그에서 수많은 사진이 좌악~ 열릴 때의 느낌은 높은 벼랑에 서있는데 아래쪽에서 바람이 휙~ 불어오는 느낌입니다. 뒷골이 찌릿하죠. 바로 화면을 닫아버립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아무래도 자신의 글이나 사진을 더 많이 보여주고 싶은 욕심이 생깁니다. 그리고 한국처럼 인터넷 환경이 좋은 곳에서 적응되어 있다면 대수롭지 않은 문제입니다만...블로거들은 별로 인내심이 없습니다. 게다가 저처럼 극악의 환경에서 블로깅하다보면 그런 블로그엔 점점 발길을 끊게 됩니다. (사진을 매번 올리는 블로그 중에 매번 들리는 곳은 두 군데 밖에 없습니다. 지금은 일본에서 공부준비 중인 친구와 한창 조카 선물 만들기에 빠져있는 시스터입니다)
4. 광고는 광고면 된다. 이쁠 필요까지야...
'..답다'라는 말이 절실한 세상입니다. 나답다. 너답다. 국회의원답다. 사업가답다. 연예인답다. 앵커답다. 사회에서 규정된 이미지에 모든 사람을 일괄 끼워넣기는 불가능합니다. 사물 역시 마찬가지구요. 하지만 광고를 블로그 글인양 속이거나 동영상으로 가장하는 방식의 광고는 싫더군요. 그래서 화려한 플래쉬 광고는 딱 질색입니다. 게다가 용량도 많이 차지하고... 가장 로딩이 빠른 광고는 역시 구글입니다. 그 다음은 다음 등의 텍스트형 광고. 최근 자주 느끼는 거지만 램프 주인ㄷㄷㅂ 광고는 엄청 블로그 로딩 시간을 잡아먹더군요.
5. RSS가 최곤가여?
인터넷이 발달하고 웹환경이 발달하면서 웹사이트 뿐 아니라 블로그도 점점 다양한 스킨과 위젯으로 자신을 드러냅니다. 어떤 블로그는 이미 블로그가 아니라 거대한 포털사이트처럼 여겨지는 곳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블로그에 관해 생각하는 바가 틀리겠지만 전 '필요한 정보를 빨리' 찾는 곳이 블로그입니다. 물론 신뢰성이 있다는 전제조건이 있지만. 그런 정보를 '빨리'얻는 데 방해가 되는 것이 바로 긴 로딩 시간입니다. 그것은 제겐 꽤나 불편하고 부담되는 블로그로 남습니다. 점점 그런 블로그에는 발길을 끊게되죠. 그래서 저의 블로깅은 RSS 블로깅이 80% 가량 됩니다.
결.
겉보기(Graphic design, Skin, Wiget etc)보다는 내용(Contents)이 중요하다는 말을 디자인 쪽에 있는 놈이 말하긴 뭣하지만...사실인걸 어떡합니까? -_-a
이상 해외의 인터넷 종량제 사용자가 느끼는 지극히 편향되고 개인적인 한국의 블로그 환경에 대한 글이었슴다. 영양가는 달나라 토끼 방아안에;;;;
간략해서 제 환경을 설명을 드렸고... 제가 느끼는 최근 한국의 블로그 환경과 저의 블로깅 습관(?)을 이야기하자면...
읽기 전 주의사항: 이것은 순전히 제 개인의 인터넷 환경에서 느끼는 것이므로 한국내, 해외라도 저와 다른 환경에서 느끼는 것이 분명 다릅니다. 이 점 잊지말아 주시길 바랍니다.
1. 올블로그<다음블로거뉴스<블로그코리아<<(넘사벽)<<한RSS
위에도 썼지만 최근의 환경입니다. 메타블로그 사이트들은 저마다의 레이아웃으로 꾸며놓았고 다양한 위젯으로 사용자를 유혹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한국내의 사용자들을 위할 뿐이고!!! 저처럼 몇 mb에 벌벌 떠는 사람은 어지간하면 메타블로그에 가질 않습니다. 그래도 예전에는 비슷하게 드나들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올블은 화면이 뻑하면 깨지고 속도도 느려 제대로 열리지도 않더군요. 다음은 예나지금이나 여전히 무겁고...최근에 블코가 좀 빨라진 경향이 있지만 그래도 한RSS와는 비교가 안됩니다. 의성어로 표현을 하면 한RSS는 챠킹! 블코는 뾰루룽~ 다음은 삐루룽~삥뿡~(윈도우 시동음-_-;;) 올블은 버버버버버ㅁ아러;비ㅏㅓㄷㄹ;ㅣ....' 수준입니다.
2. 위젯?? 피식~ 됐거등.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이렇게도 꾸미고 싶고 저렇게도 꾸미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전 언제나 용량제한에 ㄷㄷㄷ 그러다보니 위젯중에서도 아주 가벼운 위젯만 선택해서 사용합니다. 날씨나 시계 등의 위젯은 됐고! 메타블로그용 위젯도 테스트해보고 속도를 느리게 하면 무조건 삭제! 역시 가벼운 것이 최곱니다.
3. 이렇게 큰 사진을??!!! 배신! 배반형!
가끔 RSS로 구독중이거나 링크를 타고 들어간 블로그에서 수많은 사진이 좌악~ 열릴 때의 느낌은 높은 벼랑에 서있는데 아래쪽에서 바람이 휙~ 불어오는 느낌입니다. 뒷골이 찌릿하죠. 바로 화면을 닫아버립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아무래도 자신의 글이나 사진을 더 많이 보여주고 싶은 욕심이 생깁니다. 그리고 한국처럼 인터넷 환경이 좋은 곳에서 적응되어 있다면 대수롭지 않은 문제입니다만...블로거들은 별로 인내심이 없습니다. 게다가 저처럼 극악의 환경에서 블로깅하다보면 그런 블로그엔 점점 발길을 끊게 됩니다. (사진을 매번 올리는 블로그 중에 매번 들리는 곳은 두 군데 밖에 없습니다. 지금은 일본에서 공부준비 중인 친구와 한창 조카 선물 만들기에 빠져있는 시스터입니다)
4. 광고는 광고면 된다. 이쁠 필요까지야...
'..답다'라는 말이 절실한 세상입니다. 나답다. 너답다. 국회의원답다. 사업가답다. 연예인답다. 앵커답다. 사회에서 규정된 이미지에 모든 사람을 일괄 끼워넣기는 불가능합니다. 사물 역시 마찬가지구요. 하지만 광고를 블로그 글인양 속이거나 동영상으로 가장하는 방식의 광고는 싫더군요. 그래서 화려한 플래쉬 광고는 딱 질색입니다. 게다가 용량도 많이 차지하고... 가장 로딩이 빠른 광고는 역시 구글입니다. 그 다음은 다음 등의 텍스트형 광고. 최근 자주 느끼는 거지만 램프 주인ㄷㄷㅂ 광고는 엄청 블로그 로딩 시간을 잡아먹더군요.
5. RSS가 최곤가여?
인터넷이 발달하고 웹환경이 발달하면서 웹사이트 뿐 아니라 블로그도 점점 다양한 스킨과 위젯으로 자신을 드러냅니다. 어떤 블로그는 이미 블로그가 아니라 거대한 포털사이트처럼 여겨지는 곳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블로그에 관해 생각하는 바가 틀리겠지만 전 '필요한 정보를 빨리' 찾는 곳이 블로그입니다. 물론 신뢰성이 있다는 전제조건이 있지만. 그런 정보를 '빨리'얻는 데 방해가 되는 것이 바로 긴 로딩 시간입니다. 그것은 제겐 꽤나 불편하고 부담되는 블로그로 남습니다. 점점 그런 블로그에는 발길을 끊게되죠. 그래서 저의 블로깅은 RSS 블로깅이 80% 가량 됩니다.
결.
겉보기(Graphic design, Skin, Wiget etc)보다는 내용(Contents)이 중요하다는 말을 디자인 쪽에 있는 놈이 말하긴 뭣하지만...사실인걸 어떡합니까? -_-a
이상 해외의 인터넷 종량제 사용자가 느끼는 지극히 편향되고 개인적인 한국의 블로그 환경에 대한 글이었슴다. 영양가는 달나라 토끼 방아안에;;;;
'예전 글 > 웃자고 쓴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로 먹고 싶은 개인 잡담_끄적대다 (28) | 2009.03.03 |
---|---|
블로그추천과 베스트진입, 두 마리 토끼를 잡아보자. (35) | 2009.03.02 |
인터넷 종량제 사용자가 느끼는 한국의 블로그 환경 (43) | 2009.02.27 |
바톤놀이로 느끼는 나란 인간...하아~ (30) | 2009.02.20 |
블로거-지적수준과 대화수준에 대한 단상 (17) | 2009.02.19 |
블로그 지문지답 (30) | 2009.02.12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조마조마한 세상에서 사시는군요. 그런 환경에서 언제나 좋은 글을 올려주시니 감사할 따르릉입니다.
살다보니 이런 환경에도 사람이 적응이 되더군요. 나름 장점도 있고;;;
-_- 갑자기 사진 열심히 올리기 좋아하는 입장에서 아 혹시나 놀러오시더라고 금방 닫고 가시겠구나 싶습니다. 걍 RSS로 보시는 편이... 쿨럭~
RSS로 보고 있습니다. ㅜ,.ㅜ
음냐.. 재준님을 위하여.. RSS를 전체공개에서 부분공개로 바꿔야 할련지 ^^
학주니님의 글이야 텍스트 위주라서...부분 공개하면 읽으러 블로그에 들러야합니다!!! 아니되오!!
국내 이야기인줄 알고 들어왔는데 해외에 계시군요. 혹 술은 좀 하신다면 음주 인터넷 조심하셔야겠는데요. ㄷㄷㄷ
음주 인터넷은 하는데 이미 몸에 배인 절약정신 땜에 괜찮습니다.
가끔씩 인터넷에서 자료는 하드에 보관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내려받는다는 글을 볼때 마다 부든 인터넷 속도든 너무 넘쳐도 소중한게 없게 만드는구나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hanrss의 경우는 새글에 대한 안내가 바로 바로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어떨때는 세네시간 뒤에야 새글 표시가 뜨니.....
인터넷 속도는 점점 빨라질 것이 확실하지만 한국처럼 지나치게 과용량의 환경은 좀 그렇죠.
요시림과 꼬미언니는 반성해야겠군요 ㅋㅋㅋ
그나저나 담주에 동건이 백일이라던데........
세월 참 빠르네요
쿨럭..........종량제라니....ㅠㅠ 정말 가슴 아프네요....ㅠㅠㅠㅠ
가슴이 많이 아픕니다.
그렇겠네요~
그렇답니다.
인터넷 종량제되면 저같은 학생계층이 타격이 제일심할꺼같네요.
어휴..
대학에서도 용량제한 카드를 줍니다.;;; 그것이 없으면 인터넷 사용을 못한다능
종량제....사진, 동영상 올릴 수 밖에 없는 저로서는 ort
육아일기를 쓰는데 사진 없으면 앙꼬 없는 찐빵이요. 속빈 강정이로세!~~~
육아일기라서 사진은 필수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만;;;
그래도 천 마디의 글보다 한 장의 사진이 효과는 있죠
속도는 비슷합니다. 1.5메가 o<-<
명박이 보다 느리시군요 ㅠ.ㅠ
아! 3번 사항 죄송합니다 ㅠ.ㅠ
웬지 png로 해서 용량이 더 큰관계로 찔리는 게 많군요 ^^;
ㅎㅎㅎㅎㅎㅎㅎ
속도라서 다행입죠. 용량이라면 난감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브라우저의 그림표시를 꺼놓으시면..?
'이미지표시 꺼고 써봤어요? 안 써봤으면 말을 마세요~' 달인님이 이렇게 이야기하지 않을까요? ^^
그 정도는 아니랍니다. 그냥 아껴쓰면 나름 쓸만해요.
저는 한달 3기가랍니다...^^;
블로거뉴스 직링크로 개편 후, 티스토리가 아예 열리지 않는 경우도 있네요....
아무도 그런 말씀이 없는 걸로 봐서 저만 그런가 하여...조용히 지내고 있습니다.ㅠ.ㅠ
종량제라...컴터 앞에 적게 앉아 있게 되어서 나름 장점이....있다는 말씀도..드리고 싶지만....후후후~ 가끔 외로우면(?) 고용량 추가 구입을 해 버리는 습관이 있어서...ㅠ.ㅠ
극악의 환경이시군요. ^^;
티스토리 툭하면 느려져서...뭐 해외 사용자의 비애라 생각하고 포기하고 삽니다.
아... 종량제... 정말 종량제를 사용하게 되면 그럴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서..
지금의 환경에 감사하게 되네요...
핸폰 인터넷이 1g 종량제인데... 아직은 처음 써보다 보니 1g가 얼마만큼 사용할 수 있는 것인지 감이 안 옵니다... ㅜㅜ
아뭏든 정해진 분량안에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정말 두려운 일이네요....ㅠㅠ
6기가 사용하면 하루평균 200mb 다운 받으면 되죠. 문제는 그 200mb가 블로깅 하다보면 수시로 넘칩니다.
사용하는 브라우저가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HTTP/1.1 사용"을 체크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하면 압축 전송을 지원하는 서버(제 블로그 포함)에서는 데이타를 압축해서 전송해 주기 때문에 전송량을 줄이는데 조금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글의 내용은 종량제가 아니라고 해도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저도 올블은 느리고 사진 - 그것도 무지막지하게 큰 사진 -을 많이 올리는 사이트는 그닥 좋아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사에선 파폭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집에서 IE를 쓰는데 HTTP/1.1을 체크해두고 있습니다만 파폭에선 그런 기능을 찾지 못하겠더군요. 어디선가 본듯도 한데...
아무튼 한국의 인터넷 환경이 마냥 좋지만은 않습니다. ^^;;
아... 얼마전에 포스팅 하면서 올렸던 참고 사진 용량이 100mb 가 넘었었는데...
그런 글을 읽으셨다면 완전 치명타였겠네요.. ^^;;;
그렇다고 참고 사진이 없이 글을 쓰면 이상해지는뎅..
흠... 그럼 그런 글들은 더보기로 일단 가려 놓으면 괜찮을려나요?
가려 놓는다고 해도 한번에 로딩할까요?
더보기로 가려도 구글리더같은 경우는 일단 전체 다운을 하니깐 무용지물입니다. 결국 사진 용량 자체를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아~~ 그렇군요
근데 솔지기 사진 블로그 하시는 분들은 사진 쪼그만하게 올리면 싸이하는거나 블로그 하는거나 차이를 못 느끼시니.. ^^;;;
이왕이면 최대한 크게해서 보여주고 싶거든요
미국이나 유럽에서 우리 나라보다 창조적인 서비스가 더 많이 나오는 것이 인터넷 환경 때문이 아닌가 생각하곤 합니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인지라, 광대역 회선을 쓰면서 정액제인 우리나라에서는 아무래도 홈페이지 '최적화'나, 쉽고 빠르고 정확한 '검색'이나, 시간을 절약하게 하는 RSS 같은 기술에 그다지 흥미가 없는 것 같아요.
공기나 물처럼 중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흔해지면 가치가 없는 것 처럼 느끼는 것이 당연한데, 우리 나라에서는 인터넷이 그런 느낌이 되어가는 것 같고.
구글이 해외에선 인기 끈 이유가 분명하죠. 최고의 실용주의
배너 뽑아버려야겠네요 -_-;;
역시 블로그는 가볍게가 대세...쩝
가볍지 않은 것은 블로그가 아니다.는 말을 하고 싶습니당.
흑....사진은 커야맛..;ㅂ; 아이고..... 왠지 죄송하군요..
그래서 j준님이 자주 안오시나봐요...ㅎㅎㅎ
그래도 RSS로 읽고있...부분공개?? 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