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자신의 블로그 글에 이미지를 넣어서 발행하시나요? 아니면 그냥 이미지 없이 텍스트로 된 글을 발행하시나요? 많은 분들이 자신의 블로그의 글에 이미지를 넣어서 발행하고 있습니다. 또 그보다 더 많은 수의 블로그 글이 이미지 없이 문자만으로 된 글로 발행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은 자신의 글을 더 돋보이게 하는 방법으로, 혹은 자신의 글을 보충 설명하는 방법으로 이미지를 넣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적당한 이미지를 검색하기가 어렵고 많은 이미지들은 저작권에 걸려 있는 것들이고 또 블로거가 굳이 이런 수고를 할 필요를 못느끼거나 귀찮아서 그냥 이미지 삽입을 하지 않고 발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블로그의 글에 이미지를 넣어서 발행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과의 차이는 어마어마합니다.
1. 한 장의 이미지가 천 마디 말보다 낫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시각 정보를 더 선호합니다. 문자 정보를 읽고 논리적으로 머리속에서 분석, 판단하는 것보다 한 장의 이미지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 휠씬 쉽고 또 효과적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시각 정보는 문자 정보가 잘못 전달할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해줍니다.
2. 메타 블로그 사이트는 이미지를 선호한다.
올블로그나 블로그 코리아 그리고 믹시 혹은 다른 메타 블로그 사이트에 글을 발행해 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각 메타 사이트는 글의 앞부분에 블로그의 글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를 노출시켜 줍니다. 당연히 이미지가 포함된 글이랑 포함되지 않은 글의 차이는 큽니다.
3. 편집의 묘미를 느낀다.
딱딱한 내용의 글이라면 중간에 이미지 한 장을 넣어서 경직된 분위기를 순화시킬 수 있습니다. 가벼운 내용의 글이라면 진지한 다큐 사진 한 장이 블로그 전체의 이미지를 바꿔줍니다. 비슷한 색상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싣게되면 그 블로그의 이미지메이킹까지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미지의 삽입은 글 전체의 문단과 레이아웃에 다양함을 선사합니다. 이미지는 그냥 단순히 글의 내용을 보충하는 이상의 효과를 줍니다.
4. 방문자에게 다양함을 선사한다.
3번과 거의 같은 맥락의 내용입니다만 두꺼운 책 가운데 삽입된 몇 장의 삽화는 독자에게 거대한 휴식공간을 선사합니다. 한참동안 글의 내용에 짓눌린 독자의 머리는 삽화 한 장으로 인해 완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고 그 책 속에서 다양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솔직히 성경이 잘 읽히지 않는 이유는 그림이 한 장도 없다는 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생각합니다.(물론 최근에는 성경만화도 있지만)
여러분이 정성을 쏟아서 블로그의 글을 작성하셨다면 그 글을 더 화려하게 꾸며보시길 바랍니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 좋고 예쁜 액자 속의 그림이 더 잘 팔립니다. 그것을 굳이 상업주의니 키치니 그런 식의 색안경을 끼고 볼 필요는 없습니다. 어차피 여러분의 가장 큰 바램은 여러분의 글이 널리 읽히는 것이라면 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할 여지가 있습니다. 게다가 세상은 아직 너그러워서 저작권이 없는 이미지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작은 이미지 하나가 여러분의 글을 더 읽기 좋고, 더 보기 좋고, 더 이해가 쉽고, 더 오래동안 좋은 블로그 독창적인 이미지(Identity)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은 자신의 글을 더 돋보이게 하는 방법으로, 혹은 자신의 글을 보충 설명하는 방법으로 이미지를 넣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적당한 이미지를 검색하기가 어렵고 많은 이미지들은 저작권에 걸려 있는 것들이고 또 블로거가 굳이 이런 수고를 할 필요를 못느끼거나 귀찮아서 그냥 이미지 삽입을 하지 않고 발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블로그의 글에 이미지를 넣어서 발행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과의 차이는 어마어마합니다.
1. 한 장의 이미지가 천 마디 말보다 낫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시각 정보를 더 선호합니다. 문자 정보를 읽고 논리적으로 머리속에서 분석, 판단하는 것보다 한 장의 이미지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 휠씬 쉽고 또 효과적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시각 정보는 문자 정보가 잘못 전달할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해줍니다.
2. 메타 블로그 사이트는 이미지를 선호한다.
올블로그나 블로그 코리아 그리고 믹시 혹은 다른 메타 블로그 사이트에 글을 발행해 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각 메타 사이트는 글의 앞부분에 블로그의 글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를 노출시켜 줍니다. 당연히 이미지가 포함된 글이랑 포함되지 않은 글의 차이는 큽니다.
3. 편집의 묘미를 느낀다.
딱딱한 내용의 글이라면 중간에 이미지 한 장을 넣어서 경직된 분위기를 순화시킬 수 있습니다. 가벼운 내용의 글이라면 진지한 다큐 사진 한 장이 블로그 전체의 이미지를 바꿔줍니다. 비슷한 색상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싣게되면 그 블로그의 이미지메이킹까지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미지의 삽입은 글 전체의 문단과 레이아웃에 다양함을 선사합니다. 이미지는 그냥 단순히 글의 내용을 보충하는 이상의 효과를 줍니다.
4. 방문자에게 다양함을 선사한다.
3번과 거의 같은 맥락의 내용입니다만 두꺼운 책 가운데 삽입된 몇 장의 삽화는 독자에게 거대한 휴식공간을 선사합니다. 한참동안 글의 내용에 짓눌린 독자의 머리는 삽화 한 장으로 인해 완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고 그 책 속에서 다양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솔직히 성경이 잘 읽히지 않는 이유는 그림이 한 장도 없다는 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생각합니다.(물론 최근에는 성경만화도 있지만)
![]() 이걸 먹고 싶나요? | ![]() 이걸 먹고 싶나요? |
여러분이 정성을 쏟아서 블로그의 글을 작성하셨다면 그 글을 더 화려하게 꾸며보시길 바랍니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 좋고 예쁜 액자 속의 그림이 더 잘 팔립니다. 그것을 굳이 상업주의니 키치니 그런 식의 색안경을 끼고 볼 필요는 없습니다. 어차피 여러분의 가장 큰 바램은 여러분의 글이 널리 읽히는 것이라면 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할 여지가 있습니다. 게다가 세상은 아직 너그러워서 저작권이 없는 이미지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작은 이미지 하나가 여러분의 글을 더 읽기 좋고, 더 보기 좋고, 더 이해가 쉽고, 더 오래동안 좋은 블로그 독창적인 이미지(Identity)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연관글-
허탈하게 쉬운 블로그용 이미지(사진) 구하기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는 블로그는 없다.
블로그 주제별 읽기 편한 글 편집방법
RSS 발행시 꼭 조심해야 할 5가지
블로거 이미지 메이킹의 중요성
허탈하게 쉬운 블로그용 이미지(사진) 구하기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는 블로그는 없다.
블로그 주제별 읽기 편한 글 편집방법
RSS 발행시 꼭 조심해야 할 5가지
블로거 이미지 메이킹의 중요성
'예전 글 > 도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말 블로그는 컨텐츠 제작이 최고일까? (26) | 2008.04.23 |
---|---|
블로그 트랙백의 기술 (34) | 2008.04.12 |
블로그 글에 이미지를 넣어야 하는 이유 (28) | 2008.04.09 |
하루 2시간 블로깅 > 하루 2시간 영어공부 (10) | 2008.04.09 |
팀블로그의 장단점과 성공을 위한 필수요소 (22) | 2008.04.04 |
주제넘은 블로그가 되지말자 (43) | 2008.04.03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짤방의 필요성
이미지 하나가 주는 힘이란..후훗
편집의 묘미. 정말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블로그를 놓을 수 없는거죠.
새로운 레이아웃을 개발(?)하는 재미에... OTL
새로운 레이아웃 개발이라..편집디자인쪽을 전공해보심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요새 글을 쓰면서 드는 생각입니다만
왠지 글에 그림이 빠지면 허전해서 이제는 꼭 이미지가 들어간답니다
저도 이미지를 어지간하면 넣습니다. :)
제 경우는 글보다 사진이 더 많다는...ㅎㅎㅎ
Yasu님은 사진쟁이!! ㅋㅋ
음음 시각적 효과도 무시 할수 없겠죠.
꽤나 효과적입니다. :)
저 사진의 비교..
뭔가를 생각하게 만드는군요 ㅋㅋ
그 뭔가가 뭔지...
저는 오른쪽에 더 맛있어 보입니다. ㅎㅎ -_-;
저는 둘다 맛있어 보입니다. ㅡ.ㅡ"
워워..두 분 진정
J준님은 이런 방면의 도사입니다.
늘 단한장의 그림을 사용해서 글의 절묘한 맥을 살리시거든요.
저는 서너장을 집어넣어도 너저분한 편입니다.
한장 단 한장으로 .. 대단하십니다.
게을러서 한 장만 넣습니다. OTL...
도사라뇨..
개인적 사정으로 지금은 잠시 접고는 있지만 전에 한창 블로깅 할 때 생각해보면,
이미지를 삽입하는 것은 (포스팅 내용중)3번의 이유가 가장 크지 않았나 싶네요..
기본적인 포샵툴 밖에 다루지 못하던 제가 이미지 한번 제대로 올려 보려고 이리 저리 알아보고 깔끔하게 편집해 볼려고 씨름하고ㅎ원하는 사진 하나 찾으려고 웹사이트 미친듯이 돌아다니고,,,그런 과정들이 재미죠..ㅎㅎ
진정 즐기는 블로깅을 하셨군요. :)
ㅎㅎ 맞는말 같습니다.
가끔 움직이는 그림도 넣어주면 재미있어요^^ ㅋ
자작이면 더더욱!!
유투브쪽은 저작권이 어떤지 궁금하네요 -_-a
윗 글의 장점이 아니어도 그 이미지가 주가 되는 보충설명의 글도 있답니다. ^^
잘 지내시죠?
크윽! 초하님은 '이미지가 소재가 되어 이야기를 진행하는 글'의 가장 기본 모델이십니다.
그럭저럭 지냅니다. :)
저는 텍스트는 별로 이미지(사진)만 잔뜩 있어요 하하
이미지를 주체로 운영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저는 그래서 왠만하면 알맞은 이미지를 찾아서 넣으려고 노력합니다.
이미지를 잘 넣으면 글이 200%는 풍부해진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이미지 안넣으면 뭐랄까... 계란프라이에 노른자가 없는 느낌이예요 ㅋ